말레이시아에서 한국인이 주로 할 수 있는 일은 콜센터, 세일즈 (구글애즈 같은 거), 영상검열 (유튜브 같은 거) 등이 주를 이룬다. 대부분 BPO 회사들이고 영상검열이나 BPO회사 인사를 제외하고는 CS 성향이 강하다. BPO회사 중 비교적 후발주자인 TDCX의 구글 프로젝트의 경우 태그설정하는 일과 세일즈로 나뉘는 데 월급은 9300링깃 + 인센티브 500링깃 (곱하기 280 하면 얼추 원화로 환산된다) - 지금은 올랐나 (참고로 일했던 기간은 2022. 7. ~ 2023. 7.)?
회사 장점, 단점
태그팀을 기준으로 장점은
1. 워라밸: 콜 이외 나머지는 다 쌩까도 됨
2. 병가인정
단점은
1. 개발 쪽으로 실력을 쌓기 어려움 (물론 개인이 하기 나름이지만)
2. 태그설정을 미팅으로 하는 데 이게 은근 스트레스
3. 이상한 교육이랑 형식적인 일이 많음 (공무원 생활 할 때 보다 많다고 느꼈음)
4. 모기
위치
KL Sentral 지역 (오피스가 분산되어 있다) - KL 시내에서 그리 멀지 않다 (여기가 할랄지역이라 돼지고기 안 팜), 집값이 상대적으로 비싼 편이라 대부분 주변에서 출퇴근

절차
절차는 대개 헤드헌터한테 연락이 오고 머 이상한 영어 문제 풀이, 기본코딩상식 풀이 -> 헤드헌터 면접 -> 태그팀 면접 순으로 진행 (문제 풀이가 먼저인지 헷갈림).
이후, 합격되면 서류 및 레퍼런스 등 제출 -> 장비수령 -> 의미 없는 교육 한 달 -> 케이스 처리
어딜 가나 그렇지만 헤드헌터랑 현지 태그팀에 반장 같은 얘들이 하는 말은 믿지 말고 자기 잘 알아본 뒤 자기 상황이나 계획에 맞게 합류를 결정하길 (1년 정도 여행 삼아 머리 식히긴 좋음)
특히, 6개월 간 30%를 세금으로 떼가는 데 환급은 되지만 6개월 버티는 게 쉽진 않다. 세금문제는 담당자한테 물어보길 권장 (사무실에 있는 얘들한테 물어봐도 잘 모른다, 시간낭비).
말레이시아 장점, 단점
장점은
1. 남한테 신경 안 씀
2. 대부분 친절함
3. 그렙 (그렙으로 안 되는 거 없다)
4. 수영장 (웬만한 콘도는 수영장 기본 구비)
5. 동남아 여행하기 좋음
6. 생활에 불편함 없음
단점은
1. 음식 (기름 많은 건 괜찮은 데 맛이 없다) - 기름 덕분에 추위에 강해지는 듯
2. 가성비 떨어짐: 현지식을 제외하고 웬만한 식사 한 끼에 25 ~ 35링깃인데 기본적으로 물도 안 줌 (물이 넘치는 나라라 물값은 쓰는 거나 먹는 거나 싸다), 돈 더 준다고 질이 올라가는 것도 아니라는 거
3. 걸어다는 길은 좁은 데 다들 횡대로 서서 너희적 너희적 다닌다
4. 비싼 물가
생활비
생활비는 집값으로 2300링깃 (회사 옆인데 싸게 구한 편이다), 전기세 230링깃 정도, 가스 25, 수도 6 (한 달 기준, 여기만 그랬는지 모르지만 요금은 두 달치 몰아서 나왔음), 오수비 60링깃 (이건 반년마다)





참고로 콘센트는 이렇게 생겼다 (현지에서 어뎁터 살 때 돼지코 크기 잘 보고 사길 - 사이즈 작은 건 한국제품 안 들어간다)


그닥 추천하진 않음 일이고 생활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