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66) 썸네일형 리스트형 MySQL - Google Cloud My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인데요. 한 가지 단점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없기 때문에 로컬환경에서만 접근이 가능한 점인데요. 위치와 관계없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을 위해서는 구글 클라우드나 아마존 같은 서비스와 연결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구글 클라우드와 연결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구글 클라우드 SQL 생성하기 1. 프로젝트 생성 구글 클라우드에 로그인 후 상단 좌측에 프로젝트 콤보박스를 클릭합니다. 'New project'를 누릅니다 (참고로, 플랜에 따라 생성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수가 제한됩니다). ※ 프로젝트 삭제를 원하는 경우 상단 프로젝트 선택창에서 해당 프로젝트 선택 후 좌측에 햄버거 메뉴 아이콘 -> 'IAM & Admin'.. 몽고디비 (MongoDB) 몽고디비는 No SQL (기존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와 달리 테이블 방식이 아닌 객체형식의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로 클라우드 환경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추가 설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어서 MEAN (MongoDB, Angular, Node.js) 또는 MERN (MongoDB, React, Node.js) 스택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프로젝트 생성 몽고디비 (https://cloud.mongodb.com/) 로그인 후 'New Project' 선택 프로젝트 이름을 설정하고 'Next' 누름 다음 페이지에서 해당 프로젝트 참여할 멤버를 더 할 수 있는데요. 없는 경우 그냥 'Create Project'를 누릅니다.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되면 DB생성이 가능한데요. 'Build a Dat.. 노드제이에스 - 앵귤러 서버 API 배포하기 (Render) 백엔드 API기능을 가진 앵귤러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크게는 Front와 Back을 따로 배포하고 연결할 건지 아니면 동시에 한 곳에 배포할 건지로 구분됩니다. 오늘은 Render와 Netlify를 사용하여 나누어서 배포하는 방식을 보겠습니다. 배포된 애플리케이션 Angular와 MongDB를 사용하여 만들어졌으며 Render의 무료버전은 MongDB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MongDB을 지원하는 가장 저렴한 플랜으로 배포되었습니다 (무료 배포 아님). 개발환경과 프로덕션환경 구분 없이 분리된 Front와 Back 서버를 함께 작동시키고 작업된 코드를 깃에 커밋만 하면 자동 배포가 되도록 설정해 보겠습니다. Backend 배포 먼저 렌더에서 'Web service'를 생성합니.. Firebase - Hosting 파이어베이스에서 제공하는 호스팅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해 보겠습니다. "Build"에서 "Hosting"을 선택합니다. 'Get started' 클릭 아래와 같이 셋업 가이드가 뜨는데요. 먼저 'firebase-tools'를 해당 프로젝트에 설치합니다. 아래 npm명령어를 복사하여 npm i -g firebase-tools 프로젝트 콘솔창에 넣고 실행합니다. 다음 단계는 프로젝트 루트 디렉터리 생성인데요. 먼저 파이어베이스에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되어 있는 경우는 생략가능). firebase login 정보수집에 관한 동의를 물어보는데 원치 않는 경우 'n'을 선택합니다. 이후 윈도 새창에서 계정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계정을 선택하고 접근을 허가하면 로그인이 완료됩니다. 다음으로 배포를 위한.. 파이어베이스 (인증) - 이메일, 비밀번호 백엔드 통합서비스인 파이어베이스에서 제공하는 많은 기능 중 인증기능을 살펴볼까 합니다. 파이어베이스 인증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은 브라우저에서 로그인 한 사용자의 상태유지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므로 일반 서버를 통해 만드는 경우 처럼 상태유지를 위해 제이슨 토큰 등을 생성하여 주고받을 필요가 없다는 점입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파이어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앵귤러, 리액트) 클라우드 백엔드 서비스인 파이어베이스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파이어베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최신버전인 파이어베이스와 구 버전인 실시간 데이터베이스가 있으며 대동소이하므로, 이 글에서는 최신버전인 파이어스토어를 설정하고 애플리케이션에 연결해 보겠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파이어베이스 - 연결하기 (앵귤러, 리액트) 파이어베이스는 데이터 저장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인증 및 호스팅 등 다양한 서버 측 기능을 제공하는 구글의 통합 서비스입니다. 이미 구축된 서버에 프론트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하고 파이어베이스에서 필요한 기능을 가져다 사용하기 때문에 백엔드 개발 없이 완전체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파이어베이스는 파이어 스토어 기준으로 1GB의 총 데이터와 하루에 20,000번의 쓰기, 20,000번의 지우기, 50,000번의 읽기를 무료로 제공하므로 테스트 목적의 애플리케이션을 충분히 가동 가능합니다. 파이어베이스 사용을 위한 첫 단계인 파이어베이스와 개발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연동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에이 피 아이 - 노티피케이션 Notification API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알림을 받을 수 있게 해 줍니다. 이상으로 notification API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참고 Notifications API - Web APIs | MDN The Notifications API allows web pages to control the display of system notifications to the end user. These are outside the top-level browsing context viewport, so therefore can be displayed even when the user has switched tabs or moved to a different app develo.. 이전 1 ··· 5 6 7 8 9 다음